6일 오후 정부의 연평도 포격 후속대책안이 발표되자 연평도 주민들은 ‘구체적인 대책이 무엇이냐’ ‘새로운 내용이 없다’ 등 회의적인 반응이 지배적이었다.
이 가운데 일부 주민은 ‘정부가 대책을 발표했으니 구체적인 지원안을 기다려봐야 하지 않겠냐’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이날 오후 2시 인천 중구의 임시숙소 ‘인스파월드’에 있던 연평도 주민 250여명은 TV 앞에 모여 앉아 김황식 총리의 연평도 포격 도발 후속대책에 관한 대국민 담화문 발표에 귀를 기울였다.
5분여의 발표가 끝나자 주민들은 찜질방 마루에 가족이나 친지 단위로 모여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언제 집으로 돌아가나’ 등의 이야기를 나눴다.
주민 김영식(60)씨는 “정부가 주민들에게 해주는거라야 겨우 복구지원비 정도인데,집 고쳐주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명자(59.여)씨는 “그나마 정부가 특별편성한 300억원도 연평도를 포함한 서해5도에 함께 쓰이는 것 아니냐.피해를 당한 것과 피해를 당할 가능성이 있는 것은 다른데 이미 피해를 본 연평도 주민들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이 없다”고 비판했다.
신동환(46)씨도 “보름 가까이 지나도록 정부가 만든 대책이 고작 이거냐”며 “주민들이 평생 살아온 삶의 터전을 버리는 게 쉬운 일도 아니고,북한의 공격이 불안한 것 역시 사실이라 그에 대해 일종의 보상책이라도 있어야 하는데 그런 이야기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주민은 정부 차원에서 방향이 세워졌으니 인천시가 좀 더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을 거라며 조심스런 기대감을 나타냈다.
한 50대 남성은 “총리가 일단 큰 틀에서 얘기를 했으니까 기다려 보는게 맞지 않을까 싶다”고 했고,김혜련(29.여)씨는 “구체적인 지원방안이 곧 나오지 않겠냐”고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연평주민비상대책위원회는 오후 4시께 기자회견 겸 주민들에게 비대위의 향후 계획을 발표하는 자리를 갖고 “김 총리가 전 주민이 요구하고 있는 영구이전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바 큰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이어 “임시거처 마련과 생활자금 지원과 관련해 인천시가 내일 오후 3시 입장을 표명하기로 했다.그 뒤에 주민 단체 행동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자회견이 끝나자 김 총리의 담화에 격앙된 일부 주민이 단상에 올라가 “비대위가 얻어낸 게 뭐냐”고 따지면서 양측 사이에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연평도 현지에서도 공무원과 일부 주민들이 면사무소에 모여 지대한 관심을 갖고 김 총리의 발표를 지켜봤다.
하지만 ‘인적.물적 피해 회복을 위한 300억 긴급지원’이란 내용을 듣고는 급격히 실망한 기색이었다.
김 총리의 발표를 지켜본 한 주민은 “300억원이면 한 가구당 3천만원 수준인데 이 정도로는 택도 없다.집이 완전히 무너진 경우 다시 지으려면 2억 정도는 든다”며 역정을 냈다.
40대 김모씨는 “구체적인 내용이 없고 어떻게 집행한다는 건지도 모르겠다.300억원을 대책위에 지급해서 주민들이 합의해서 쪼개는 건지 갈피를 못 잡겠다”라고 답답해했다.
현지 주민들은 또 주민 정주생활 지원금 지급이나 농어민 소득증대 방안 등을 담은 ‘서해5도 종합발전계획’도 현재로서는 ‘계획’에 불과하다며 과연 그대로 확정될지 의문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연합뉴스
이 가운데 일부 주민은 ‘정부가 대책을 발표했으니 구체적인 지원안을 기다려봐야 하지 않겠냐’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이날 오후 2시 인천 중구의 임시숙소 ‘인스파월드’에 있던 연평도 주민 250여명은 TV 앞에 모여 앉아 김황식 총리의 연평도 포격 도발 후속대책에 관한 대국민 담화문 발표에 귀를 기울였다.
5분여의 발표가 끝나자 주민들은 찜질방 마루에 가족이나 친지 단위로 모여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언제 집으로 돌아가나’ 등의 이야기를 나눴다.
주민 김영식(60)씨는 “정부가 주민들에게 해주는거라야 겨우 복구지원비 정도인데,집 고쳐주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명자(59.여)씨는 “그나마 정부가 특별편성한 300억원도 연평도를 포함한 서해5도에 함께 쓰이는 것 아니냐.피해를 당한 것과 피해를 당할 가능성이 있는 것은 다른데 이미 피해를 본 연평도 주민들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이 없다”고 비판했다.
신동환(46)씨도 “보름 가까이 지나도록 정부가 만든 대책이 고작 이거냐”며 “주민들이 평생 살아온 삶의 터전을 버리는 게 쉬운 일도 아니고,북한의 공격이 불안한 것 역시 사실이라 그에 대해 일종의 보상책이라도 있어야 하는데 그런 이야기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주민은 정부 차원에서 방향이 세워졌으니 인천시가 좀 더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을 거라며 조심스런 기대감을 나타냈다.
한 50대 남성은 “총리가 일단 큰 틀에서 얘기를 했으니까 기다려 보는게 맞지 않을까 싶다”고 했고,김혜련(29.여)씨는 “구체적인 지원방안이 곧 나오지 않겠냐”고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연평주민비상대책위원회는 오후 4시께 기자회견 겸 주민들에게 비대위의 향후 계획을 발표하는 자리를 갖고 “김 총리가 전 주민이 요구하고 있는 영구이전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바 큰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이어 “임시거처 마련과 생활자금 지원과 관련해 인천시가 내일 오후 3시 입장을 표명하기로 했다.그 뒤에 주민 단체 행동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자회견이 끝나자 김 총리의 담화에 격앙된 일부 주민이 단상에 올라가 “비대위가 얻어낸 게 뭐냐”고 따지면서 양측 사이에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연평도 현지에서도 공무원과 일부 주민들이 면사무소에 모여 지대한 관심을 갖고 김 총리의 발표를 지켜봤다.
하지만 ‘인적.물적 피해 회복을 위한 300억 긴급지원’이란 내용을 듣고는 급격히 실망한 기색이었다.
김 총리의 발표를 지켜본 한 주민은 “300억원이면 한 가구당 3천만원 수준인데 이 정도로는 택도 없다.집이 완전히 무너진 경우 다시 지으려면 2억 정도는 든다”며 역정을 냈다.
40대 김모씨는 “구체적인 내용이 없고 어떻게 집행한다는 건지도 모르겠다.300억원을 대책위에 지급해서 주민들이 합의해서 쪼개는 건지 갈피를 못 잡겠다”라고 답답해했다.
현지 주민들은 또 주민 정주생활 지원금 지급이나 농어민 소득증대 방안 등을 담은 ‘서해5도 종합발전계획’도 현재로서는 ‘계획’에 불과하다며 과연 그대로 확정될지 의문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