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은 무상급식인데…구별로 한끼당 400원까지 차이

똑같은 무상급식인데…구별로 한끼당 400원까지 차이

입력 2011-02-16 00:00
수정 2011-02-16 14: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부터 서울 초등학생 1∼4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친환경 무상급식 단가가 자치구별로 최대 400원까지 차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곽노현 서울시교육감은 16일 서울 원효초등학교에서 열린 ‘친환경 무상급식 건강식단 시연회’에서 “급식 단가는 2천457원이지만 실제로는 자치구별로 50원에서 450원의 식자재 구입비를 지원키로 해 질이 훨씬 더 높은 식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급식단가를 작년보다 200원 가량 많은 2천457원으로 정했다.이중 운영비 등을 제한 순수한 식재료비는 2천222원 가량이다.

 여기에 자치구별 식자재 구입비 지원액을 더하면 구별 식재료비는 2천272원에서 2천672원까지 최대 17.6%나 차이나게 된다.

 450원을 지원키로 한 곳은 강서구로 지역 자영농민 돕기 차원에서 지원을 대폭 확대한 것으로 알려졌다.또 성북구와 용산구 등 민주당 소속 구청장이 들어선 자치구 상당수에서도 200원 이상을 지원하는 방안을 결정했거나 논의 중이다.

 50원만 지원하는 자치구는 작년 강서친환경유통센터에서 식자재를 구입하는 조건으로 서울시가 100원,구가 50원씩을 지원하다가 올해부터 서울시가 더 이상의 지원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지원액이 150원에서 50원으로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곽 교육감은 “50원만 내기로 한 자치구를 상대로 지원액을 늘려 보다 나은 급식이 제공될 수 있도록 설득하고 있다”고 말했다.

 곽 교육감은 최근의 농축수산물 가격 급등 현상이 친환경 무상급식 정책 추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대해 “어려움은 있겠지만 큰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곽 교육감은 “농산물 가격 앙등은 학부모가 부담하든 공공부문이 부담하든 누군가는 부담해야 한다.그렇다면 공공부문이 맡는 것이 규모의 경제를 통한 가격 합리화 등을 통해 훨씬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이날 행사에는 서울시교육청 관계자와 원효초교 학부모 등 200여명이 참가했다.

 

고광민 서울시의원 “생활체육은 지역 주민 건강 증진 위한 투자”

서울시의회 고광민 의원(국민의힘, 서초3)은 지난 19일 동덕여중·고 체육관에서 열린 ‘2025년 7월 배우리클럽 월례대회’에 참석해 주민들과 배드민턴 경기를 함께하며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동호회 회원 60여 명이 참가해 경기를 치르며 화합을 다졌다. 평소 지역 동호회 활동을 통해 주민들과 꾸준히 소통해온 고 의원은 이날 대회에서 체육관 시설 개선 등 생활체육 환경 조성에 힘쓴 공로를 인정받아 동호회 회원들로부터 감사패를 전달받았다. 고 의원은 “주민들과 함께 땀 흘리며 운동할 수 있어 뜻깊은 시간이었다”면서 “앞으로도 이런 자리를 통해 주민들과 가까이 소통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고 의원은 “주민 건강을 지키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가 생활체육 참여 확대”라며 “의료복지 정책만큼이나 생활체육 환경을 개선하고 참여기회를 넓히는 것이 주민 건강 증진을 위한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고 의원은 “동덕여중·고를 비롯해 관내 학교 체육관 시설 개선을 통해 생활체육 인프라 확충에도 꾸준히 노력해오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주민들이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체육을 즐길 수 있는 기반을 다져 나가겠다”고 말했다.
thumbnail - 고광민 서울시의원 “생활체육은 지역 주민 건강 증진 위한 투자”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