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출제… 영역별 만점자 1% 넘을 듯
“대체로 쉬웠다.”201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난이도와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첫 평가로 주목 받았던 6월 모의평가는 전반적으로 쉬웠던 것으로 분석됐다. 지금까지 교육당국이 공언해 온 ‘영역별 만점자 1%’와 ‘EBS 수능교재 연계율 70%’가 비교적 충실히 지켜진 결과다. 이에 따라 만점자가 당초 기획했던 1%를 넘을 수도 있다는 예상이 나왔다. 물론 모의평가인 만큼 11월에 치를 본시험에서는 적정한 난이도 조정이 이뤄질 수도 있으나 당국이 공언했던 ‘쉬운 수능’의 기조는 지켜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한 수능 6월 모의평가가 2일 전국 2165개 고교와 265개 학원에서 동시에 치러졌다. 이번 모의평가 응시자는 69만 9859명(언어영역 선택 기준)으로 재학생은 61만 1200명, 졸업생은 8만 8659명이다.

이번 모의평가의 특징은 높은 EBS 연계율과 이로 인한 쉬운 난이도를 꼽을 수 있다. 평가원 측은 “영역별 1% 수준이 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했고, EBS 수능교재 연계율도 70% 수준으로 강화했다.”고 밝혔다.
언어영역의 경우 지문 대부분이 EBS 교재에서 나왔다. 반의어의 의미를 설명한 지문을 제시한 언어영역 11번 문제는 EBS 교재 ‘수능특강 인터넷 수능-미문학’ 155~157쪽 지문 및 2번 문제와 거의 비슷했다. 일치법의 도식을 물은 읽기(인문) 지문과 14번 문제는 EBS 교재 ‘수능특강-언어영역 2권’ 86~87쪽 지문과 10번 문제를 이용했다. 실제 평가원 측이 밝힌 EBS교재 연계율도 74.0%로, 시험과목 가운데 가장 높았다.
수리영역은 EBS 교재에 있는 문항을 그대로 출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기본 개념과 원리를 묻는 문제들이 많았다. 올해 처음으로 시험범위에 포함된 수리 나형 미분의 경우 당초에는 어려운 문제로 학생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이번 모의평가에는 교과서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이한 문제들이 나왔다.
외국어영역도 전반적으로 지난해 수능보다 쉬웠다. 지문이 지난해 수능보다 짧았고, 어휘도 어렵지 않았다. 지문도 추상적인 내용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입시전문가들도 이번 모의평가가 쉬웠다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 손은진 메가스터디 전무는 “이번 모의평가는 ‘쉬운 수능’이라는 출제기조를 거듭 확인시켜 준 시험이었다.”면서도 “다만 이런 출제경향이 11월 본수능까지 그대로 이어질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육당국이 이번 6월 모의평가 결과를 분석해 난이도를 다시 조정할 경우 9월 수능 모의평가에서는 다른 난이도를 보일 수 있고, 이런 변화가 전체적으로 본수능의 변화를 이끌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이번 모의평가에서도 사회탐구와 과학탐구의 경우 언어, 수리, 외국어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EBS연계가 낮았다. 전반적으로는 사회·과학탐구 모두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약간 쉬웠다. 그러나 사회탐구의 국사·근현대사·세계사·한국지리는 약간 어려웠다. 김명찬 종로학원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언어·수리·외국어의 난이도가 대폭 낮아지면 탐구영역 성적이 변수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정답 13일 발표… 22일 성적 통보
입시전문가들은 ‘쉬운 수능’에 대비하려면 본인의 성적대에 맞는 학습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상위권 학생들은 실수를 하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쉬운 수능에서는 한 문제만 실수해도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중위권 학생들은 쉬운 수능의 최대 수혜자가 될 수 있다. 남은 기간 동안 기본개념과 원리를 충실히 익히면 상위권으로 도약할 수도 있다. 하위권도 수능을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기본개념만 제대로 숙지하고, EBS교재만 철저히 공부해도 절반 이상의 문제를 풀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평가원은 13일 오후 5시 모의평가 정답을 발표한다. 영역·과목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영역별 응시자수가 표기된 채점 결과는 22일 수험생에게 일괄 통보된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1-06-03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