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 시조연구 논문 쓴 김선옥 할머니

연합뉴스
김선옥 할머니
연합뉴스
연합뉴스
17일 청주대에 따르면 김선옥(77·청주시 상당구 우암동) 할머니가 ‘가람과 노산 시조의 비교연구’란 논문으로 오는 22일 문학박사 학위를 받는다.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때 시조를 통해 조선인의 혼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한 가람 이병기(1891~1968) 선생과 노산 이은상(1903~1982) 선생의 시조 정신을 논리적으로 알기 쉽게 풀어 비교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 할머니는 “컴퓨터를 다루는 게 미숙하다 보니 논문을 쓰다가 내용이 모두 날아가는 등 숱한 어려움을 겪었다”면서 “앞으로 창작 활동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그가 시조의 매력에 빠지기 시작한 것은 17세이던 공주사범학교 1학년 때다. 수업시간에 시조를 배운 게 계기였다.
일찍이 작가를 꿈꿨지만 부모님의 권유로 시조와 거리가 먼 숙명여대 약학과에 진학하면서 약사의 길을 걷게 됐다. 숙대에서 2년 수료한 뒤 충북대 약학과를 나왔다.
하지만 청주로 시집와 30여년간 약국을 운영하면서도 시조에 대한 열정은 식을 줄 몰랐다. 1995년 ‘어머니’란 작품을 통해 ‘창조문학’ 시조 시인상을 받았고, 그해 한국 시조시인협회와 한국문인협회 회원이 됐다. 꿈에 그리던 시조시인이 됐지만 도전은 멈추지 않았다. 시조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왕성한 창작활동을 해야겠다며 청주대 대학원에 진학, 2000년 석사학위에 이어 박사과정 3년 만에 박사학위까지 취득하게 됐다. 그는 “그동안 쓴 시조가 100여편인데 이 시조들을 모아 책을 내고 싶다”고 했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2013-02-1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