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대학노동조합과 전국교수노조 등으로 구성된 ‘국립대 법인화 저지와 교육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국·공립대 재정 확충을 정부에 요구했다.
공대위는 이날 집회에서 “국·공립대에 대한 정부의 예산 지원이 턱없이 부족해 학생들의 낸 기성회비로 대학이 운영되는 실정”이라며 “교육 재정을 늘려 반값등록금 정책을 실현하는 등 학생 부담을 덜어줘야한다”고 주장했다.
공대위는 특히 “정부가 최근 국·공립대들이 기성회 회계에서 직원에게 지급하던 수당을 폐지하라는 결정을 일방적으로 내렸다”면서 “이는 정부의 역할은 회피하고 국립대 구성원에만 책임을 떠넘기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교육부는 지난달 전국 국·공립대 총장회의에서 다음 달부터 전국 39개 국립대 공무원직원에게 주는 기성회비 수당을 폐지하고 교원에게는 연구실적과 성과에 따라 연구보조비를 차등 지급하라고 대학들에 요청한 바 있다.
연합뉴스
공대위는 이날 집회에서 “국·공립대에 대한 정부의 예산 지원이 턱없이 부족해 학생들의 낸 기성회비로 대학이 운영되는 실정”이라며 “교육 재정을 늘려 반값등록금 정책을 실현하는 등 학생 부담을 덜어줘야한다”고 주장했다.
공대위는 특히 “정부가 최근 국·공립대들이 기성회 회계에서 직원에게 지급하던 수당을 폐지하라는 결정을 일방적으로 내렸다”면서 “이는 정부의 역할은 회피하고 국립대 구성원에만 책임을 떠넘기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교육부는 지난달 전국 국·공립대 총장회의에서 다음 달부터 전국 39개 국립대 공무원직원에게 주는 기성회비 수당을 폐지하고 교원에게는 연구실적과 성과에 따라 연구보조비를 차등 지급하라고 대학들에 요청한 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