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에서 등산객 부상 등 긴급상황에 대비해 설치된 긴급통신 중계기가 2G 휴대전화 외에는 연결되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
2G 폰만 터지는 지리산 긴급통신 중계기 지리산 세재에서 치밭목 산장으로 가는 등산로에 설치된 지리산 긴급통신 중계기. 이 중계기는 2G 휴대전화만 사용가능해 등산객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연합뉴스
15일 지리산국립공원사무소에 따르면 이동통신사들의 협조를 받아 지난 2005년과 2006년 휴대전화가 불가능한 주요 등산로에 긴급통신 중계기 26대를 설치했다.
주로 중산리~장터목, 삼장 세재~치밭목 산장, 삼신봉~세석산장 구간 등 등산객이 많이 다니는 곳에 이 중계기가 설치됐다.
안테나 형태의 이 중계기는 긴급버튼을 누르고 안테나선을 휴대전화에 꽂으면 신호를 증폭시켜 통화할 수 있는 기기다.
그러나 이 중계기는 설치 당시 2G 휴대전화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돼 3G나 4G 이상의 진화된 휴대전화를 많이 사용하는 최근 추세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근 지리산 등산하러 다녀온 이모(53·진주시 평거동)씨는 “휴대전화가 잘 터지지 않는 장터목~칼바위 구간에서 일행 중 1명이 다리가 골절돼 긴급통신 중계기의 긴급버튼을 눌렀으나 연결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고 전했다.
이처럼 긴급통신 중계기에 2G 휴대전화만 연결되는 것은 3G나 4G 휴대전화와 주파수대역이 다르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지리산국립공원사무소의 한 관계자는 “최근에는 3G, 4G 휴대전화도 중계기 없이 웬만한 등산로에서 연결된다”면서 “중계기를 2G급 이상의 휴대전화도 사용할 수 있는지 통신사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2G 폰만 터지는 지리산 긴급통신 중계기
지리산 세재에서 치밭목 산장으로 가는 등산로에 설치된 지리산 긴급통신 중계기. 이 중계기는 2G 휴대전화만 사용가능해 등산객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15일 지리산국립공원사무소에 따르면 이동통신사들의 협조를 받아 지난 2005년과 2006년 휴대전화가 불가능한 주요 등산로에 긴급통신 중계기 26대를 설치했다.
주로 중산리~장터목, 삼장 세재~치밭목 산장, 삼신봉~세석산장 구간 등 등산객이 많이 다니는 곳에 이 중계기가 설치됐다.
안테나 형태의 이 중계기는 긴급버튼을 누르고 안테나선을 휴대전화에 꽂으면 신호를 증폭시켜 통화할 수 있는 기기다.
그러나 이 중계기는 설치 당시 2G 휴대전화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돼 3G나 4G 이상의 진화된 휴대전화를 많이 사용하는 최근 추세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근 지리산 등산하러 다녀온 이모(53·진주시 평거동)씨는 “휴대전화가 잘 터지지 않는 장터목~칼바위 구간에서 일행 중 1명이 다리가 골절돼 긴급통신 중계기의 긴급버튼을 눌렀으나 연결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고 전했다.
이처럼 긴급통신 중계기에 2G 휴대전화만 연결되는 것은 3G나 4G 휴대전화와 주파수대역이 다르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지리산국립공원사무소의 한 관계자는 “최근에는 3G, 4G 휴대전화도 중계기 없이 웬만한 등산로에서 연결된다”면서 “중계기를 2G급 이상의 휴대전화도 사용할 수 있는지 통신사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