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말부터 서울 전역에 잡냄새 없는 수돗물 공급

내년말부터 서울 전역에 잡냄새 없는 수돗물 공급

입력 2014-03-04 00:00
수정 2014-03-04 11: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市, 6개 정수센터에 고도정수처리시설 구축

내년말부터 서울 전역에서 ‘고도정수’ 처리된 수돗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내년까지 6개 정수센터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100% 구축한다고 4일 밝혔다.

고도정수처리시설은 기존 정수처리공정에 오존처리와 입상활성탄(숯)으로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 원수가 조류로 오염될 때 생기는 불쾌한 맛·냄새와 소독부산물 등 미량유기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현재 서울시에 공급되는 수돗물 380만t 가운데 70만t만 고도정수처리를 거친다.

시는 연말까지 강북·암사·구의정수센터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구축해 시 인구 중 90.3%에 공급하고, 내년에는 뚝도정수센터에도 설비를 갖춰 시 전역에 고도정수된 수돗물을 공급할 계획이다.

공공수도관과 공용수도관 배관 교체도 속도를 낸다.

시는 낡은 상수도관(시가 관리하는 공공수도관) 47㎞를 올해 교체하는 등 2018년까지 남아 있는 노후 수도관 476㎞를 모두 신형으로 바꿀 예정이다.

1994년 4월 이전에 지어진 아파트 476단지 총 27만가구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노후 공용배관은 2018년까지 전량 교체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공용배관이란 공동주택의 물탱크로 연결되는 주계량기로부터 각 세대별 계량기 사이의 수도배관으로, 공동주택이 관리에 책임을 진다.

2007년부터 작년까지 연평균 1만1천가구가 공용배관을 교체했으나 여전히 19만가구는 녹이 잘 스는 아연도강관 등으로 만든 노후 배관으로 수돗물을 공급받고 있다.

시는 세대별 최대 20만원인 노후 공용배관 교체공사 지원금을 올해부터 25만원으로 늘리고, 교체 아파트에 무료수질검사 혜택을 제공하는 등 공용배관 교체 독려에 나섰다. 공용배관과 세대배관을 모두 교체하면 공사비가 세대당 80만원까지 지원한다.

물탱크 위생관리도 강화된다. 지난 1월 수도조례 개정에 따라 7월부터 일반건물에 설치된 소형물탱크 4천855개에 청소가 의무화 된다.

관리 부실로 미생물 발생 가능성이 있는 옥상물탱크를 없애고 직결급수로 전환하는 ‘고층아파트 직결급수’ 시범사업도 시작된다.

시는 또 원수(原水) 수질검사 장소를 6곳에서 10곳으로 확대하고, 취수장과 정수센터의 신종미량물질 실태조사 검사항목을 124개에서 130개로 늘려 각종 화학물질 오염에 대한 선제대응을 강화한다.

서비스 부문에서는 정기·체납분 수도요금 통합고지, 도로 굴착 없는 밸브 교체, 수돗물 민원서비스 강화 등을 올해 추진한다.

남원준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최고 품질의 아리수를 생산·공급하고 민원서비스를 개선해 시민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김혜영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상공인 조례 개정··· ‘디지털 기술 교육’ 지원 근거 마련

서울시의회 김혜영 의원(국민의힘, 광진4)이 대표발의한 ‘서울시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지난달 27일 서울시의회 제331회 정례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개정은 디지털 환경 변화에 적응이 어려운 소상공인에게 체계적인 디지털 기술 교육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제도적 근거를 신설한 것으로, 실질적인 자생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서울시 소상공인 정책의 무게중심을 옮긴 입법 성과다. 개정된 조례에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기술 역량강화 교육’을 서울시가 실시할 수 있는 경영 및 창업지원 사업의 하나로 명시(제8조 제7호의3)해, 관련 교육사업을 지속적이고 구조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법적 기반을 갖췄다. 김 의원은 “디지털 기술이 일상화된 현재에도 키오스크 사용이나 온라인 판매조차 어려워하는 소상공인들이 여전히 많다”며 “단순한 재정지원만으로는 변화에 대응할 수 없으며,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진정한 지원”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소상공인진흥공단의 실태조사 결과에(2021년 기준)에 따르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소상공인의 비율은 전체의 15.4%에 불과하며, 특히 제조업(7.6%), 숙박·음식점업(7.6%), 수리
thumbnail - 김혜영 서울시의원, 서울시 소상공인 조례 개정··· ‘디지털 기술 교육’ 지원 근거 마련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