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러나는 황제경영 수법들
지주사 격인 아이원아이홀딩스와 천해지를 포함해 50여개 관계사의 자산을 빼돌리며 부를 축적한 유병언(73) 전 세모그룹 회장의 ‘황제경영’ 수법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멀쩡한 기업에서는 있을 수 없는 주주 손실을 담보로 한 무상감자를 비롯해 부동산 증여, 주식과 채권의 고가 매입, 터무니없는 가격의 사진 거래 등 각종 편법과 불법 거래 등이 동원된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부도난 ㈜세모의 자동차 부품사업을 양도받아 설립된 ㈜온지구는 대주주 지배구조 변경에서 편법 행위 등이 이뤄졌다. 2010년 150여명의 개인주주가 소유한 온지구의 대주주가 유 전 회장의 관계사들로 바뀌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기업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유상증자와 주식 소각·무상감자, 유상증자가 진행됐다. 특히 2010년 매출 504억원에 영업이익 13억원을 내는 회사에서 기존 주주들이 손해를 떠안을 수밖에 없는 무상감자를 했다는 것은 ‘보이지 않는 손’이 있었다는 것을 방증한다. 이를 통해 2011년 온지구의 최대주주는 트라이곤코리아로 바뀌었고 아이원아이홀딩스와 다판다 등 유 전 회장 측과 관련된 회사들이 주주가 됐다.
유 전 회장의 장남인 대균씨가 최대주주인 트라이곤코리아와 기독교복음침례회(구원파) 간 거래도 수상한 대목이 적지 않다. 기독교복음침례회는 트라이곤코리아 측에 운영자금으로 지난해 기준 258억원을 빌려줬다. 트라이곤코리아의 장기차입금 265억원 가운데 97.4%를 차지한다. 문제는 트라이곤코리아에 마땅한 담보가 없어 사실상 신용으로 빌려줬다는 점이다. 이 회사의 지난해 당기순손실은 22억원이다. 자산총계는 234억원으로 이 중 보유 토지 가치는 73억원(장부가액) 정도다. 자산이 없다 보니 기독교복음침례회는 트라이곤코리아가 공동 보유한 서울 강남구 삼성동 노른자쇼핑의 4억원짜리 부지(16.7㎡)에 채권최고액 270억원의 근저당권을 설정했다.
또 유 전 회장이 2010년 보유한 비상장 기업인 국제영상 주식(4만 6000주)을 천해지와 청해진해운, 세모 등 6개 관계사에 주당 6만원에 매각했다. 당시 국제영상의 주당 순자산 가액은 3825원에 불과했다. 이 회사들의 경영권 확보 없이는 불가능한 거래로 볼 수 있다. 한 회계사는 “주주든, 회사든 간에 이득을 유 전 회장 일가로 몰아주기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4-05-08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