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이동통신설비 업체의 비리 의혹 수사에 착수했다. 이 업체가 기지국 공용화 사업을 사실상 독점해오고 있어 민관유착 비리 수사로 확대될 전망이다.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4부(배종혁 부장검사)는 18일 서울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공용무선기지국 전문업체인 한국전파기지국㈜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 회사 경영진이 회삿돈을 횡령한 정황을 잡고 회계장부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빼돌린 돈의 흐름을 추적해 경영진이 방송통신위원회를 비롯한 관련 기관을 상대로 로비를 벌였는지 확인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전파기지국은 WCDMA(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와 와이파이(WiFi) 등 각종 이동통신서비스에 필요한 시설을 구축하는 회사다.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무선통신 중계망 공용화 사업을 도맡고 있다.
검찰은 이 회사가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대형 이동통신사와 유착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KT와 SKT·LGU+ 출신들이 이 회사 주요 임원을 맡고 있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임직원들을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민관유착 비리 수사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4부(배종혁 부장검사)는 18일 서울 송파구 방이동에 있는 공용무선기지국 전문업체인 한국전파기지국㈜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이 회사 경영진이 회삿돈을 횡령한 정황을 잡고 회계장부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빼돌린 돈의 흐름을 추적해 경영진이 방송통신위원회를 비롯한 관련 기관을 상대로 로비를 벌였는지 확인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전파기지국은 WCDMA(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와 와이파이(WiFi) 등 각종 이동통신서비스에 필요한 시설을 구축하는 회사다.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무선통신 중계망 공용화 사업을 도맡고 있다.
검찰은 이 회사가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대형 이동통신사와 유착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KT와 SKT·LGU+ 출신들이 이 회사 주요 임원을 맡고 있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임직원들을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민관유착 비리 수사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