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천168차 수요집회서도 셔먼 비판 이어져
한국진보연대 등 10여개 시민단체는 4일 오전 11시 서울 미국대사관 인근 KT 광화문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최근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차관의 한·중·일 과거사 관련 발언에 대해 사과를 촉구했다.셔먼 차관은 지난달 말 워싱턴DC 카네기 국제평화연구소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동북아 역사 관련 갈등은 한국, 중국, 일본 3국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는 취지의 ‘양비양시론’적 발언을 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이들 단체 관계자 30여명은 이날 “셔먼 차관은 한·중·일 세 나라 모두의 책임이라고 언급했지만 사실상 한국과 중국을 겨냥한 것”이라며 “과거사를 은폐·왜곡하는 일본 아베정부 입장을 두둔하는 위험한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셔먼 차관의 ‘정치 지도자가 과거의 적을 비난해 값싼 박수를 얻는 것은 어렵지 않고 이런 도발은 진전이 아니라 마비를 가져온다’는 취지의 언급도 비판했다.
이들은 “일본 정부에 침략전쟁에 대한 사죄를 요구하는 한국과 중국 정부의 정당한 행동을 도발로 규정해 일본에 면죄부를 주는 것과 같다”며 “미국이 자국의 이익을 위해 일본 감싸기에 나서는 것으로 경악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참가자들은 미국 정부의 공개 사과와 셔먼 차관에 대한 문책을 촉구하고 한국 정부에 대해서도 미국에 엄중히 항의하고 사과를 요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이날 정오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천168차 수요집회에서도 셔먼 차관 발언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
김선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공동대표는 “역사갈등이 한·중·일 3국의 문제라고 발언한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며 “과거사 문제는 일본 정부의 문제이지 한국과 중국 정부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특히 “셔먼 차관은 이미 명백한 전쟁범죄로 밝혀진 위안부 문제를 두고 한국과 일본이 논쟁을 벌이고 있다고 표현했다”면서 “위안부 문제를 논쟁이라고 끌어내린 것은 망언”이라고 비판했다.
또 “이같은 발언이 미국 고위 관리 입에서 나왔다는 사실에 분노를 금할 수 없으며 일본의 사과와 배상 등 위안부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계속해서 집회를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수요집회에는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길원옥·이용수 할머니와 150여명의 시민들이 자리해 일본 정부에 위안부 문제에 대한 공식 사죄와 법적 배상을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