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돌 맞는 위안부 문제 해결 대학생 동아리 ‘평화나비’ 김샘 대표
“대학생들이 자발적으로 행동하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언젠가는 꼭 해결할 수 있다고 믿어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할머니들의 간절한 바람, 저희가 이뤄 드리고 싶습니다.”
‘평화나비’ 김샘 대표
서대문구 대현문화공원에 건립한 ‘평화의 소녀상’은 평화나비의 정기행사인 토크콘서트 수익금으로 맺은 첫 결실이다. 김씨는 “장소 선정부터 기금 마련까지 우리 힘으로 해내 더 보람찼다”며 “사회 참여는 ‘스펙’이 아니라는 인식 탓에 학생들에게 외면을 받았지만 지금은 응원하는 학생들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평화나비’ 활동은 일본에서도 알려졌다. 일본 히로시마의 주부 기타무라 메구미(43·여)는 평화나비 행사가 있을 때마다 비행기를 타고 날아온다. 김씨는 “지난해부터 평화나비 페이스북 페이지를 보고 자비를 들여 오셔서 한국어로 ‘고생한다’며 응원해 주시는 분”이라고 설명했다. 기타무라는 지난해 2월 페이스북에 ‘독도는 한국땅입니다. 위안부 문제는 일본의 잘못입니다’라는 내용의 글을 올린 뒤 독도재단의 초청을 받아 독도를 방문하기도 했다. 평화나비가 지난해 8월 개최한 토론회에는 일본 오사카대 대학원생들이 참여해 ‘극우 성향의 아베정권과 일본 국민의 대응’이라는 주제로 발제하고, 평화나비 회원들과 함께 토론하기도 했다.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8명 가운데 생존자는 53명밖에 남지 않았다. 올초 연이어 2명의 할머니가 세상을 떠났다. 김씨는 “살아계신 할머니들의 평균 연세가 88세다. 이분들이 평생을 끌어 온 고단한 싸움을 우리가 대신 이어 나가고 싶다”며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 외부활동이 힘든 상황에서도 토크콘서트에 와 주시는 것에 매번 감동을 받는다”고 말했다.
글 사진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2015-04-0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