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 조종고 학생 12명 ‘아침마루의 그날들’ 출간
“엄마는 꿈이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엄마도 꿈 많은 소녀였던 때가, 아리따운 때가 있었더라고요. 그 모든 걸 다 버리고 엄마로 살고 계시다는 걸 이제야 알게 됐어요.”
조종고 제공
부모·조부모의 자서전 모음집 ‘아침마루의 그날들’을 출간한 경기 가평 조종고 학생들이 7일 학교 앞에서 박석균(뒷줄 왼쪽) 지도교사와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조종고 제공
조종고 제공
고등학생들이 자기 어머니·아버지와 할아버지·할머니를 인터뷰해 그들의 소중한 인생을 글로 풀어 한 권의 책에 담아냈다. 7일 출간된 ‘아침마루의 그날들’이다. 자서전 집필자들은 경기 가평에 있는 조종고 학생 12명이다. 학생들은 지난해 10~12월 자서전 전문 대필작가에게 글쓰기를 배웠다. 겨울방학 동안 부모·조부모의 인터뷰를 진행하며 어떤 내용을 담을지 취재했다.
투박하고 서툴기 그지없지만, 책 속에 담긴 울림은 자못 컸다. 이지수(18)양은 어렸을 적 소아마비를 앓은 탓에 목발을 짚고 다니는 아버지가 어떻게 살아왔는지 담담히 풀어냈다. “장애에 굴하지 않고 묵묵히 가죽 공예를 하시는 아버지가 너무 멋져요.”
부모가 받았던 상처와 아픔도 고스란히 담겼다. 안주희(18)양은 사업을 하던 할아버지가 가족 몰래 사채를 쓰다가 납치를 당해 세상을 뜨게 된, 감추고 싶던 가족사를 소개했다. 가족들이 이후 사채업자에게 시달리고 간호사가 되려던 엄마는 빚 때문에 꿈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안양은 붉어진 눈시울을 한 채 글을 썼다.
김정민(18)군의 글에는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 당시 실직한 아버지에 대한 걱정, 버스 운전사 등을 하며 오뚜기처럼 재기한 데 대한 존경이 묻어났다. 가족과 행복하게 살려던 노력들이 물거품이 되고, 아내와 아들까지 책임져야 했던 아버지를 뒤늦게 이해한 김군은 눈물을 쏟았다. 박석균(52) 지도교사는 “잘 쓰고, 못 쓰고를 떠나 가족의 소중함을 느낀 것만으로도 가치 있는 시간”이라고 했다. 학교 측은 오는 13일 조촐한 출판기념회를 열고 학생들의 글을 부모에게 헌정하는 행사를 열 예정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05-0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