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경 지역 스케치
“혹시나 하고 마음을 졸이기도 했는데, 남북이 대화로 문제를 풀게 돼 정말 다행입니다.”
연합뉴스
연천 주민 다시 집으로
25일 새벽 남북 고위급 접촉이 극적으로 타결된 뒤 경기 연천군 중면사무소 앞 삼곶 대피소에 머물던 주민들이 옷가지 등을 챙겨 대피소를 빠져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경기 연천군 중면 횡산리 은금홍 이장은 “새벽녘 TV를 통해 협상 타결 소식을 듣고 모두 박수를 쳤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습기 차고 답답한 대피소 생활로 몸과 마음이 지칠 대로 지쳤었다. 잘 끝나 정말 다행”이라며 웃음을 지었다.
파주 비무장지대(DMZ) 최북단 마을인 대성동 마을 김동구 이장도 “만생종 벼 이삭이 막 올라오는 때라 논에 물관리를 해 줘야 하고 김장용 배추 모종도 옮겨 심어야 하는 등 할 일이 태산 같았는데 정말 잘됐다”고 말했다.
육군 28사단은 이날 오전 대피소 청소를 지원한 데 이어 중면 횡산리와 삼곶리에서 장병 100여명을 동원해 주민들의 농사일을 거들었다. 주민들은 “당장 밭이고 논이고 일이 산더미처럼 밀렸는데 너무 고맙다”며 함박웃음을 지었다.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출입이 금지돼 24일 다른 학교로 출근해야 했던 파주 대성동초등학교 교직원 19명은 이날 오후부터 정상 출근했다.
지난 21일부터 대피 생활을 해 왔던 강원 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군 접경 지역 주민들도 일상으로 돌아갔다. 주민들은 이른 아침부터 논밭으로 향했다. 강원 지역 최대 곡창지대인 철원평야에서 농사를 짓는 주민들은 이날 오전부터 민통선 출입이 정상화되자 그동안 가지 못했던 논을 찾아 벼 상태를 살폈다.
금강산 길목인 고성군 주민들의 표정도 모처럼 밝아졌다. 주민들은 “남북 고위급 회담 합의문안에 ‘민간 교류 활성화’가 포함돼 있다”며 “이번에는 금강산 관광이 꼭 재개됐으면 좋겠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고성군 관계자는 “금강산 관광 중단 이후 누적된 지역의 경제적 손실이 2400억원에 이르고 휴·폐업 업소는 410여곳에 달한다”고 밝혔다.
닷새째 조업 통제가 돼 마음이 바쁜 서해5도민들은 태풍 고니의 영향으로 조업이 또 통제돼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다만 대목인 9월 출어기 때 꽃게잡이를 못할지도 모른다는 어민들의 불안감은 해소됐다. 지난 22일 오후 3시 북한 도발이 우려돼 주민들에게 대피 명령을 내렸던 인천 옹진군 연평면 직원들도 안도했다. 옹진군의 한 관계자는 “이제 주민들이 긴장을 풀고 생업에 전념할 수 있게 됐다”며 “서해5도에 다시 관광객들의 발길이 이어져 침체된 섬 지역 경제가 되살아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15-08-2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