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봐주시는 이모님 선물 어떻게 하죠?” “임신부인데 시댁 안 내려가는 법 없나요?”
#1. 19개월 된 아들을 둔 ‘직장맘’ 서모(33)씨는 요즘 ‘이모님’(육아 도우미를 지칭하는 은어)을 위한 추석 선물로 고민이 많다. 지난 2월 설 연휴에 멋모르고 그냥 넘어갔다가 “다른 집들은 성의 표시라도 한다더라”는 육아 도우미의 말에 뜨끔했던 서씨다. “주위에 물어보니 1만~2만원짜리 식용유 세트는 안 주느니만 못하다고 하네요. 백화점상품권을 드릴까 생각 중인데 비용이 좀 부담되네요. 하지만 온종일 아이와 함께 있는 분이다 보니 참….”#2. 임신 9개월차인 맞벌이 직장인 이모(32)씨는 추석을 앞두고 불러 오는 배를 보면 시름이 깊어진다. 이씨는 “시댁까지는 자가용으로 5시간이 넘게 걸려 이번에는 안 가려 했는데 시부모님은 그렇게 생각하시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씨는 시부모님께 역귀성을 조심스럽게 얘기해 볼 참이다.
●“도우미 품귀 현상에 엄마는 乙이죠”
추석 연휴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직장맘(mom)’의 명절 스트레스 걱정이 쏟아지고 있다. 육아 서비스를 이용하는 부모들 사이에서 도우미는 추석 선물 눈치까지 봐야 하는 ‘슈퍼 갑’이다.
추석은 임신한 예비맘들에게는 딜레마다. 연휴 동안 시부모 댁과 친정부모 댁을 ‘셔틀’하다 보면 녹초가 되기 십상이다.
직장맘들에게 ‘슈퍼 갑’인 육아 도우미는 구하는 것 자체가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렵다. 국내 수요에 비해 도우미 수가 부족해 지역에 따라 몇 개월씩 대기하는 일도 다반사다. 더구나 돌보미가 자주 바뀌면 아이 정서에도 좋지 않아 부모와 도우미 간의 위상은 전형적인 갑을 관계가 된다. 도우미와의 의견 충돌이나 교체가 잦으면 ‘블랙리스트’로 찍혀 이용이 제한되는 경우도 있다. 육아 서비스를 원하는 가정이 자연히 ‘을’이 되는 셈이다.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육아 서비스 이용 가구는 시간제 서비스가 4만 9989가구, 종일제 서비스가 4373가구에 달했다. 반면 육아 도우미로 활동한 인력은 총 1만 7208명에 그쳤다.
●인터넷선 ‘시댁 안 가기’ 비법 전수도
최근 포털사이트 네이버 카페 ‘레몬테라스’ ‘맘스홀릭베이비’ 등에서는 산달을 앞둔 임신부들 사이에서 ‘추석에 안 내려 가는 방법’에 대한 비법 전수가 한창이다. 이들의 ‘걱정글’에는 선배 엄마들의 댓글이 잇따른다. “딸도 아닌 며느리가 ‘힘들어서 못 가겠다’고 하는 것보단 시부모님에게 사정을 전해 달라고 남편한테 부탁하는 편이 낫다”는 등의 처방이 그것이다. 풀독이 오를까 성묘를 걱정하는 초보 임신부의 글에는 “배가 더 나와 보이는 옷을 입어 성묘를 피하라”는 댓글도 달렸다.
●“난임인데… 친척들 채근에 스트레스”
임신을 학수고대하는 ‘난임’ 부부에게도 추석은 고난이다. ‘좋은 소식은 언제 들을 수 있냐’는 친척들의 채근과 뛰어 다니는 어린 조카들을 보는 일이 이들에게는 엄청난 부담이다. 추석 즈음 인공수정을 계획한 부부들은 더욱 걱정이다. 추석 연휴 하루 전 인공수정을 계획했다는 A씨는 “나름 큰돈 들여 하는 일인데 명절이면 하루에 상을 6번은 차리는 시댁에 갔다가 무슨 일이 생길까 걱정돼 안 간다고 말씀드렸다”며 “시댁 식구들 눈치가 보이지만 어렵게 잡은 기회를 놓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5-09-2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