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협 의원 “임금피크제 도입 때 청년일자리 창출이 핵심 돼야”
서울시 5대 공기업 전체 임직원의 21%가 2020년까지 순차적으로 정년퇴직할 전망이다. 이를 청년 일자리로 연결시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경협(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6일 국정감사에서 중앙정부가 추진하는 임금피크제 중심형 노동개혁 방안과 대비되는 박원순 시장의 청년일자리 창출형 노동개혁을 주문했다.
향후 5년간 서울시 5대 공기업의 1956∼1960년생 직원 3천943명이 정년퇴직하게 된다.
서울메트로 2천755명, 서울도시철도공사 701명, 서울시설관리공단 349명, 서울농수산식품공사 43명, SH공사 95명이 그 대상이다.
김 의원은 “약 4천명의 정년 퇴직자에 대한 인원보충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문제”라며 “현재 중앙정부의 임금피크제 시행과 서울시 지하철 양사 통합 등 2개의 대형 구조조정 프로젝트가 예정됐는데 이에 대한 박 시장의 해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우선 박 시장에게 당면한 공기업 임금피크제 시행에 대해 노사간 자율교섭을 존중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임금삭감식 임금피크제가 아닌 청년일자리 창출이 노동개혁의 핵심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박 시장이 사회적경제 조직과 지방공기업이 결합하는 신경제조직 창출, 근로시간 단축형 고용 창출, 외주화된 위험·안전 업무 직영화 등 구체적인 해법을 내놔야 한다고 주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