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2일 북한 금강산에서 그리운 혈육을 만나게 될 우리 측 이산가족 394명의 명단이 지난 15일 공개됐다. 그들의 안타까운 사연들도 누렇게 빛바랜 사진과 함께 전해졌다.
이미지 확대
① 경북 문경에 사는 이옥연(87)씨는 북에 사는 남편 채훈식(88)씨를 65년 만에 만난다. 이 사진은 1949년 부부의 결혼식 장면. 남편은 이듬해 6·25전쟁이 터지고 두 달 만에 징집돼 전쟁터로 떠났고 이후 두 사람은 다시는 보지 못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①
경북 문경에 사는 이옥연(87)씨는 북에 사는 남편 채훈식(88)씨를 65년 만에 만난다. 이 사진은 1949년 부부의 결혼식 장면. 남편은 이듬해 6·25전쟁이 터지고 두 달 만에 징집돼 전쟁터로 떠났고 이후 두 사람은 다시는 보지 못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② 이옥연씨가 남편과 헤어지고 아들 채희양(66)씨와 찍은 사진. 아들 채씨는 이번에 어머니를 모시고 생전 처음 보는 아버지를 만나러 간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②
이옥연씨가 남편과 헤어지고 아들 채희양(66)씨와 찍은 사진. 아들 채씨는 이번에 어머니를 모시고 생전 처음 보는 아버지를 만나러 간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③ 안순란(오른쪽·79)씨는 북한에 살고 있는 언니 춘란(81)씨를 만나러 간다. 바로 옆은 아들을 안고 있는 순란씨의 남편이고 왼쪽 두 사람은 언니·오빠다. 6·25전쟁 피난길에 홀로 떨어진 춘란씨는 사진에 보이지 않는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③
안순란(오른쪽·79)씨는 북한에 살고 있는 언니 춘란(81)씨를 만나러 간다. 바로 옆은 아들을 안고 있는 순란씨의 남편이고 왼쪽 두 사람은 언니·오빠다. 6·25전쟁 피난길에 홀로 떨어진 춘란씨는 사진에 보이지 않는다. 연합뉴스
① 경북 문경에 사는 이옥연(87)씨는 북에 사는 남편 채훈식(88)씨를 65년 만에 만난다. 이 사진은 1949년 부부의 결혼식 장면. 남편은 이듬해 6·25전쟁이 터지고 두 달 만에 징집돼 전쟁터로 떠났고 이후 두 사람은 다시는 보지 못했다. ② 이옥연씨가 남편과 헤어지고 아들 채희양(66)씨와 찍은 사진. 아들 채씨는 이번에 어머니를 모시고 생전 처음 보는 아버지를 만나러 간다. ③ 안순란(오른쪽·79)씨는 북한에 살고 있는 언니 춘란(81)씨를 만나러 간다. 바로 옆은 아들을 안고 있는 순란씨의 남편이고 왼쪽 두 사람은 언니·오빠다. 6·25전쟁 피난길에 홀로 떨어진 춘란씨는 사진에 보이지 않는다. 연합뉴스
2015-10-1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