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피의자 사전영장청구 ‘초읽기’ vs 수사 장기화
레고랜드 사업을 둘러싼 공무원 뇌물 비리와 불법 자금 제공 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가 21일 단행된 검찰 고위직 인사와 맞물려 이번 주 최대 분수령을 맞고 있다.이 사건을 수사 중인 춘천지검 형사 2부는 이날 레고랜드 사업 시행사인 엘엘개발 전 대표 A씨와 최문순 강원도지사의 전 특보 C씨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
지난해 지방선거 당시 최 지사의 특보를 사퇴하고 선거캠프에 합류한 C씨가 A씨로부터 거액의 불법 자금을 전달받은 혐의로 검찰의 소환조사를 받은 것은 지난 11일 이후 이날까지 5차례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A씨에게서 뇌물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 춘천시청 고위 공무원 B씨도 이미 4차례 검찰에 소환조사를 받았고, 지난 17일에는 B씨의 부인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았다.
이처럼 지난 11일 B씨의 사무실 압수수색을 신호탄으로 시작된 검찰의 수사가 주요 피의자 소환 조사와 대질 심문 등으로 열흘가량 강도 높게 진행되면서 사실상 막바지라는 분석이다.
여기다 이날 단행된 검찰 고위직 인사가 맞물리면서 레고랜드 사건의 주요 피의자에 대한 사전 구속영장 청구 등 신병 처리가 초읽기에 돌입했다는 관측이다.
이는 지난 7월 엘엘개발 전 시행사 대표 A씨의 횡령·배임 등 개인 비리 의혹에서 시작돼 정·관계 사회지도층의 비리 의혹으로 확대된 이 사건 수사를 사실상 지휘한 김호철 춘천지검장의 인사 발령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 검찰 고위직 인사가 오는 24일 자 부임인 점을 참작하면 적어도 22일 이전에는 일부 피의자에 대한 사전 구속 영장 청구가 이뤄질 것이라는 게 검찰 안팎의 관측이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주요 피의자에 대한 검찰의 신병 처리가 이 시점을 넘긴다면 양상은 다소 달라질 수 있는 분석이다.
신임 검사장 부임에 이어 이 사건 수사의 실무 라인인 차장·부장검사 등의 후속 인사가 연쇄적으로 이뤄지면 그만큼 수사 장기화가 불가피하다.
여기다 열흘간의 강도 높은 수사에도 검찰이 주요 피의자들의 혐의 입증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영장 청구 단계에도 이르지 못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지역 법조계의 한 관계자는 “사회지도층의 비리 의혹을 정조준한 검찰 수사가 장기화하면서 벌써 지역 사회 곳곳에서 각종 억측이 난무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레고랜드) 수사는 절차와 필요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