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울하다’는 윤장현 시장… 또 다른 논란 자초

‘억울하다’는 윤장현 시장… 또 다른 논란 자초

입력 2016-06-02 15:01
수정 2016-06-02 15: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운정동 태양관사업 논란 관련 내부 행정망에 장문의 글

윤장현 광주시장이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운정동 태양광 발전사업에 대한 생각을 내부 행정망에 장문의 글로 올렸다.

윤 시장의 글은 논란에 대한 해명보다는 서운함과 각오에 방점을 둔 이른바 작심발언으로 읽혀 또 다른 논란을 부를 전망이다.

업자 선정과정에서 석연치 않은 지시 등으로 논란과 불신을 자초했던 광주시와 윤 시장이 그 원인을 다른 곳으로 돌린다는 뼈있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이 사안은 최근 확대간부 때 일부 간부공무원을 항명으로 언급한 데 이어 또다시 거론한 것으로 매우 이례적이다. 그만큼 불편했다는 분석도 있다.

윤 시장은 논란과 의혹이 제기됐던 운정동 태양광 발전사업의 명확한 입장과 생각을 드리고자 펜을 들었다며 말을 꺼냈다.

먼저 1순위 업체였다가 광주시로부터 배제된 LG CNS가 제기한 소송에서 시가 승소했고 순위를 바꾼 것이 정당한 행정행위 판결이었다고 강조했다.

법원 판결로 행정 정당성이 확인되고 사건의 실체가 드러났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1순위 업체가 뇌물공여로 ‘부정당 업자’로 제재처분을 받았던 기업임을 강조하고 “도덕적 하자 업체에 공익사업을 주지 않는 것은 당연하고 이는 상식과 원칙의 문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시장은 충격, 실망 등의 용어까지 써가며 억울함을 항변했다.

그는 사업자 선정과정에서 악성 루머가 광범위하게 유포·확산하는 것을 보고 충격과 실망을 감출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지역업체 배려에 대한 소신이 특정기업 특혜설로 둔갑돼 시장과 시를 공격하는 소재가 되는 것을 보면서 자괴감을 느꼈다고 했다.

시민시장 도덕성 훼손과 시정 신뢰를 무너뜨리는 저의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도 했다.

시의회에서의 지적을 언급한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온다.

또한 ‘부정당 업자’ 논란이 드러나기 전에 지역업체 배려 명분으로 진행됐던 이른바 청탁 감사지시 논란 등을 해명하려는 의도로도 보인다.

윤 시장은 이어 사건이 전 직원의 성찰과 혁신의 계기가 되길 소망한다고 말했다.

또 불합리한 행위에 대한 진상규명과 사건이 왜곡되고 악용된 이유 등도 바로잡겠다고 공언했다. 감사결과를 토대로 좌천성 인사 등 상당한 후폭풍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그러나 이 사업의 논란 자체가 어설픈 시정에서 출발했음을 감안 할 때 윤 시장의 발언은 아전인수격 해석이 아니냐는 곱지않는 시각도 있다.

임 택 광주시의원은 “시정 난맥, 의혹, 불신을 지적하고 따지는 것을 시장 흠집내기 정도로 인식하는 것을 보고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며 “무엇이 진실인 지 규명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임 의원은 “재판 절차가 모두 마무리되지도 않는 상태서 시장의 언급은 부적절해 보인다”며 “조만간 시의회 차원에서 대응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이 사업은 운정동 27만9천여㎡ 매립장에 민자 262억원을 유치해 12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건립하는 것이다.

사업자 선정 직후부터 윤 시장이 선정 과정의 적격성을 살펴보라고 ‘특명’을 내리고 이른바 청탁감사 논란이 이는 등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광주시 감사위원회는 이 발전사업자 선정 과정 등에 전반적인 감사에 착수했다.

이종환 서울시의회 부의장, ‘청년들과의 직접 대화의 시간’ 가져

서울시의회 이종환 부의장은 지난 25일 서울 송파구 청년들과 직접 소통하는 ‘청년들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는 김규남(송파1) 서울시의원이 참석했다. 이 부의장은 이번 청년들과 대화의 시간은 청년들의 삶에 밀접한 저출산 문제, 신혼 주택 확대, 체육시설 확충 등을 주요 의제로 삼아 서울시가 청년 맞춤형 정책을 추진하는데 청년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직접 듣는 자리를 마련한 것이다. 청년들과의 대화에서는 서울시가 급격한 저출산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출산·육아 지원 정책을 강화하는 한편, 신혼부부들의 주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신혼 주택 공급 확대 방안도 함께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이 도출됐다. 또한 건강한 여가와 커뮤니티 활동을 위해 체육시설 및 운동 공간을 늘려, 청년들이 더욱 활기찬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서울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 부의장은 이번 ‘청년과의 대화 시간’은 청년들이 정책 제안이나 건의 사항을 청취할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면서, 청년들의 의견을 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끄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청년들이 직면한 현실적인 어려움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
thumbnail - 이종환 서울시의회 부의장, ‘청년들과의 직접 대화의 시간’ 가져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