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시절 피서는 그랬지’…기록으로 보는 피서의 추억

‘그시절 피서는 그랬지’…기록으로 보는 피서의 추억

입력 2016-07-20 13:58
수정 2016-07-20 1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가기록원, 피서 관련 기록물 44건 공개



청춘 남녀들이 유유히 노를 젓는 조각배, 중년 부부를 태운 모터보트, 음료수 등을 싣고 파는 행상보트, 튜브에 몸을 싣고 헤엄치는 어린이들. 휴전 4년이 지난 1957년에 제작된 대한뉴스에 나온 한강의 피서 풍경이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1950년대 이후 피서는 어땠는지 추억할 수 있는 영상과 사진, 문서 등 기록물 44건을 20일 홈페이지(www.acrchives.go.kr)에 제공했다.

전쟁의 상처가 씻기지 않고 궁핍했던 1950년대 후반에도 여름이면 강과 계곡, 바다에서 무더위를 피했다.

1957년 대한뉴스 ‘한강물놀이’편에는 “강변에는 아동들이 물장구를 치고 이채로운 보트 행상이 오가며 모터보트 소리도 요란하게 울려 강변풍취를 돋구고 있습니다”라고 묘사했다.

공보처가 1956년 촬영한 사진에는 어린이들이 가득한 해수욕장의 풍경이 담겼다. 몇몇 아이들은 수영복에 수영모자까지 갖췄고 튜브를 끼고 파도를 즐기기도 했다.

1956년 열린 차관회의를 정리한 회의록에는 ‘6월 30일부터 대천해수욕장까지 열차를 증설한다’는 내용이 있어 피서철에 대천으로 많은 인파가 몰렸음을 알 수 있다.

‘바캉스’란 말이 유행한 1970년대에는 피서지의 무질서와 바가지요금, 과소비 등이 사회문제가 됐다.

1971년 제작한 대한뉴스 ‘분수에 맞는 피서를’ 편은 “도심 백화점과 시장에서 피서용구를 경쟁이나 하듯 사들이는 이가 많은데 이 가운데 빚을 내가면서까지 분에 맞지 않게 즐기는 분도 있다고 합니다”라며 과소비를 삼가라고 권고했다.

또 수영장에서 카드를 치는 청년과 비키니 차림의 여성, 계곡에서 벌어진 음주가무판 등 보여주면서 “수영장과 피서지에서 공중도덕과 질서를 지킵시다. 술에 취해 큰 소리로 떠들거나 눈에 거슬리는 짓을 삼가야 하겠습니다”라고 계도했다.

서울시 경찰국은 1970년 뚝섬에 한강여름경찰소를 열어 한경변 수상안전과 풍기단속을 벌인 자료도 제공됐다.

1980년대에도 정부는 ‘알뜰 피서 캠페인’을 벌였고, 1994년 내무부가 관보에 게재한 ‘여름철 행락질서 확립대책’에는 7월1일부터 8월17일까지 특별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해수욕장과 국립공원 등 748곳에서 불법·무질서 행위를 집중 단속한다고 밝혔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