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본부, 이달부터 비규격 처리
우정사업본부가 이달 1일부터 5자리로 된 새 우편번호가 아닌 종전 6자리 우편번호를 사용하면 추가요금을 받고 있다. 우본 측은 “5자리 새 우편번호 이용률이 96%에 이른다”고 홍보하지만, 대다수 개인들은 새 우편번호가 있는지 모르거나 알더라도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우본은 3일 “5자리 새 우편번호를 도입한 지 1년이 지남에 따라 이전의 6자리 우편번호를 쓰면 규격 외 추가요금을 받는다”고 밝혔다. 현행 우편요금은 무게에 따라 270~320원이지만, 새 우편번호를 기재하지 않으면 ‘비규격’으로 처리돼 무게에 상관없이 390원을 내야 한다. 우본 관계자는 “우체통에 직접 넣는 우편물의 경우 발송인에게 반송하거나 수취인에게 추가요금을 받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새 우편번호는 공공기관이나 기업체 등 대량 우편물을 보내는 곳들은 정착이 돼 있지만, 개인 이용자들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새 우편번호 이용률이 96%에 이른다는 우본의 주장이 무색한 대목이다. 서울 여의도우체국 관계자는 “기업 등은 새 우편번호를 잘 활용하고 있지만, 개인 이용자들은 새 번호 체계가 있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거나 6자리 우편번호를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전했다. 과천정부청사 우체국 관계자 역시 “부처 공무원들도 공공기관으로 보내는 것은 90% 이상 바꿨지만, 개인적으로 청첩장 등을 보낼 때는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도로명 주소로 바뀌면서 새 우편번호를 찾기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서울 광화문 우체국 관계자는 “대형 우체국의 경우 터치스크린이나 검색할 수 있는 컴퓨터를 뒀지만, 노인들의 이용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했다. 강정화 한국소비자연맹 회장은 “추가요금은 성격상 벌칙성이 강한 것인데 과연 합당한 것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면서 “새 우편번호만 홍보할 것이 아니라 추가요금이 매겨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리는 시간과 절차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6-08-0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