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률 부풀리기 등 프리미엄 조작 정황…검찰 수사
지난해 10월 열풍을 넘어 광풍으로 묘사됐던 엘시티 더샵 의 분양 과정이 새삼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높은 청약경쟁률에도 실제 초기 계약률은 저조했고, 미계약분은 분양대행사의 주선으로 부산지역 유력인사들에게 재분양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로 엘시티 더샵 분양권에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의 프리미엄이 붙으면서 유력인사들은 실질적으로 큰 혜택을 보게 됐다.
이를 두고 당시에도 엘시티 측이 초고가 아파트를 분양하면서 청약률이나 분양권 프리미엄을 임의로 부풀렸다는 소문이 무성했다.
지난해 10월 청약 당시 엘시티 더샵은 3.3㎡당 2천730만원이라는 초고가에도 비정상적으로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당시 모든 평형의 청약이 1순위에서 마감된 것으로 발표됐다.
839가구 모집(특별공급 43가구 제외)에 1만4천450명이 몰려 평균 17.2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68억원짜리(3.3㎡당 7천만원) 펜트하우스(2가구)에는 137명이 몰려 68.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모 부동산중개소 관계자는 “당시 현장에 휘몰아친 광풍에 부동산업계는 물론 시행사인 엘시티, 시공사인 포스코, 분양대행업체조차 깜짝 놀랐을 정도였다”고 전한다.
높은 청약률 때문에 허수 청약 논란이 일었지만, 청약 직후 계약률(당첨 청약자 계약률)이 70%를 넘겨 재차 화제를 낳기도 했다.
하지만 초기 계약은 법정 계약금(분양금액의 10%)이 아닌 5천만원의 가계약금만 낸 수분양자들로, 법정계약금을 모두 납부한 실제 계약자는 회사측 발표에 크게 못미쳤다.
엘시티는 성공적인 분양 성과를 대대적으로 홍보하면서 한편으로는 미계약분을 지역 유력인사들에게 연락해 재분양했다.
이후 엘시티 더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분양권은 웃돈 거래로 이어졌고, 한때 일부 평형은 2억원이 넘는 프리미엄이 붙어 거래되기도 했다.
현지 부동산업자들에 따르면 검찰의 수사 이후 분양권 거래가 자취를 감췄지만, 현재 계약률이 87%에 달하고 지금도 조망이 뛰어난 평형을 중심으로 수천만원의 프리미엄이 붙어있다고 한다.
지역 유력인사들이 엘시티 더샵의 분양권을 가지고 있다는 것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소유하고 있다면 괜한 시빗거리일 뿐이다.
하지만 이들 중 일부가 엘시티 비리 핵심인 이영복 회장의 알선(?)으로 분양권을 받았다면, 또 다른 비리 의혹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이다.
이 회장과 수십년 알고 지냈다는 모 기업 A 회장은 “이영복 회장한테 괜찮은 물건 하나 받았다”고 자랑하고 다녔을 정도였다.
현재 A 회장을 비롯해 지역상공계 원로인 모 기업 회장 등 지역사회에서 이름만 대면 누군지 알 수 있는 다수의 인물이 이 회장으로부터 분양권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미분양 물건을 샀다’, ‘프리미엄을 주고 노후에 살고 싶은 집을 산 것 뿐’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검찰은 올 초 엘시티 분양사 대표 최모(50)씨를 특정 경제범죄 가중 처벌법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과 횡령, 주택법 위반 혐의로 구속했다.
당시 검찰 관계자는 “최씨는 엘시티 분양과정에서 소위 주식시장에서 ‘작전’이라고 불리는 것처럼 부정한 수법으로 청약률이나 프리미엄을 조작한 혐의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처럼 엘시티 더샵 분양과정에 대해서도 의혹이 일자 지난 7월 시행사와 분양대행사를 압수수색해 엘시티 아파트 청약 관련 서류와 자료를 확보해 특혜분양을 비롯해 분양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수사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공개 분양 이전부터 공공연한 비밀로 나돌았던 사전청약설에 대해 주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전청약은 공개 분양 이전에 미리 청약을 받은 다음 좋은 곳(?)을 주는 편법분양을 일컫는 말이다.
지역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엘시티 더샵을 분양만 받아도 수천만원의 웃돈을 받을 수 있다는 말이 많았지만 실제 청약 직후에는 계약 포기 물량이 많았다”며 “이후 시행사 측에서 청약과 계약 부풀리기 등으로 분양권 프리미엄을 유도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