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육아휴직을 낸 국가공무원 가운데 남성의 비율이 처음으로 20%대에 진입했다. 정부업무평가 대상인 43개 중앙행정기관 내 육아휴직자 5명 중 1명이 남성이라는 얘기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男 1215명 육아휴직 사용
인사혁신처는 30일 2015~2016 공무원 주요 인사 분야 집계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9월을 기준으로 육아휴직을 쓴 공무원 6075명 중 남성은 1215명(20.0%)이다. 2014년에 비해 5.6% 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육아휴직을 사용한 남성 공무원의 비율은 2013년부터 계속 증가했다. 2013년에는 전체 육아휴직자 7050명 중 928명으로 13.1%에 그쳤지만, 이듬해 14.4%로 올랐다. 지난해에는 15.8%로 높아졌다가 올해 정부 수립 이후 최초로 20%대에 진입했다. 다만 여성의 비율이 70.1%로 압도적으로 높은 교육공무원은 이번 집계에서 제외됐다.
중앙행정기관의 ‘유리 천장’(여성의 고위직 승진을 막는 조직 내 보이지 않는 장벽)은 여전히 견고했다. 현재 여성 고위공무원 수는 84명으로 65명이던 2014년에 비해 29.2% 늘었지만 여전히 전체 고위공무원 1514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5%에 그친다. 그나마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의 여성 합격률이 높아진 효과로 관리자급인 4급 이상 여성 공무원 숫자는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949명에서 26.8% 증가한 1204명이다.
●시간선택제 공무원도 219.8% 늘어
아울러 자녀 보육, 퇴직 준비, 학업 및 간병 등의 사유로 근로시간을 주 20시간 내외로 단축해 근무할 수 있는 시간선택제 공무원은 지난 6월 기준 662명으로 2년 전보다 219.8% 증가했다. 시간선택제는 정규직 신분으로 정년을 보장받는다. 불필요한 초과근무를 줄이자는 취지로 지난해 13개 기관에서 ‘자기주도 근무시간제’를 실시한 후 지난해 12월 통계를 낸 결과 1인당 월평균 초과근무시간은 2014년 27.1시간에서 지난해 25.1시간으로 줄었다. 반대로 1인당 연평균 연가 사용 일수는 2014년 9.3일에서 지난해 10일로 늘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6-12-01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