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석호 “‘박원순법’에도 서울시 공무원 비위 여전”(종합)

강석호 “‘박원순법’에도 서울시 공무원 비위 여전”(종합)

입력 2017-10-17 10:11
수정 2017-10-17 10: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 “다양한 비리척결 대책 시행 등으로 현재 감소 중”

단돈 1천원만 받아도 징계할 수 있도록 한 공무원 행동강령인 이른바 ‘박원순법’이 시행된 지 3년이 지났지만, 서울시 공무원 비위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7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강석호 자유한국당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서울시 공무원 비위 검·경 통보 처리 현황’에 따르면 2012년부터 올해 8월까지 서울시 공무원의 비위행위는 326건에 달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폭행·상해가 72건으로 가장 많았고, 음주 운전 65건·금품수수 30건·교통사고 27건·성범죄 15건·기타 117건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154명은 경징계, 135명은 훈계 등의 처분, 29명은 중징계를 받았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4년 10월 박원순법 시행 전후로 비위 건수 자체는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다만 ‘금품수수’ 건수는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비위 건수는 2012년 47건, 2013년 65건, 2014년 52건, 2015년 77건, 지난해 50건, 올해 1∼8월 35건으로 각각 집계됐다.

강 의원은 “서울시는 박원순법을 시행하며 강도 높은 공직자 청렴도를 강조했지만, 비위행위가 2014년보다 2015년에 오히려 증가했다”며 “서울시 청렴도도 전국 시·도 가운데 2014년 14위, 2015년 13위, 지난해 15위로 수년째 하위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금품수수는 2013년 21건에서 2014년과 2015년 각각 2건, 2015년과 올해 각각 1건으로 크게 줄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과거에는 공무원 범죄가 적발돼도 신분 은폐가 가능했지만, 2015년 7월부터 경찰에서 공무원 신분조회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비위 건수가 전년보다 크게 늘어났던 것”이라며 “박원순법 등 다양한 비리 척결 대책 시행으로 지난해부터 감소 추세”라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청렴도 향상을 위해 박원순법을 지속해서 추진해 공직 사회 혁신을 이뤄내고 있다”며 “청렴도 관심 제고와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체계적 교육과 민관 거버넌스 구축에 힘쓰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이수루 서울시의원, 고향 키르기스스탄 방문 ‘서울시-비슈케크시 간 교류 기념공연’ 참석

서울시의회 시의원 아이수루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비례)이 지난 28일 2025 서울 위크(SEOUL WEEK)를 맞아, 중앙아시아의 알프스라 일컫는 키르기즈스탄에 위치한 최대 도시이자 수도인 비슈케크(Bishkek)시 A. 말디바예프 국립 오페라 발레극장에서 개최한 ‘서울시-비슈케크 교류 기념공연’에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지난 28일 개최한 서울시-비슈케크 간 기념공연 개최 전에는 ▲서울 인재유치 네트워크 프로모션 행사 (10:00~11:00/타슈켄트 시청/주키르기즈스탄공화국 한국대사관, 교육기관,대학 관계자 등) ▲비슈케크 시장 면담(11:00~11:30/비슈케크 시장실/서울시, 대사관, 비슈케크 시장 등) ▲비슈케크 시정부 주최 환영오찬이 이어졌으며, 이후 본 문화행사의 핵심인 ▲서울시-비슈케크 교류 기념공연(18:00~20:30/비슈케크시 공연장)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날 수도인 비슈케크 A. 말디바예프 국립 오페라 발레극장에서 개최한 ‘2025 서울 위크(SEOUL WEEK) 서울시-비슈케크 교류 기념공연’은 비슈케크시 주요 관계자를 비롯해, 키르기즈스탄 출신 서울시의회 아이수루 시의원, 그리고 비슈케크 시민 약 1000여명이
thumbnail - 아이수루 서울시의원, 고향 키르기스스탄 방문 ‘서울시-비슈케크시 간 교류 기념공연’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