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절 날짜가 매년 달라지는 이유는?

부활절 날짜가 매년 달라지는 이유는?

입력 2018-04-01 09:53
수정 2018-05-18 09: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활절의 날짜가 매년 달라지는 이유가 뭘까. 특히 올해는 부활절 날짜가 만우절과 겹치며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성경에 따르면 예수가 부활한 날짜는 1월 17일이다. 지금의 개신교는 이 날에 부활절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춘분을 기준으로 계산한 날에 부활절을 지킨다. 만월은 보름달이 되는 날로 음력 15일을 의미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여 지키는 부활주일은 제1회 니케아 공의회에서 결정된 것으로 춘분 후의 최초의 만월 다음에 오는 첫째 주일로 정한다. 대부분 3월 22일부터 4월 25일 사이의 기간 중의 한 날로 정해지며, 올해는 1일이 해당 날이 됐다.

부활 주일에 흔히 만나 볼 수 있는 달걀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기독교인들이 부활절마다 나누며 기념하는 달걀은 예수 그리스도가 무덤에서 부활한 새로운 삶을 상징한다.

달걀 겉면을 장식하는 전통은 사순절(부활절까지 주일을 제외한 40일의 기간)동안 달걀 섭취가 금지된 13세기부터 시작됐다. 금지된 시간 동안 사람들은 금식과 고행을 상징하기 위해 달걀을 칠하고 장식했고, 부활절 당일 축하의 형태로 달걀을 먹은 것이 이어져 왔다.

기독교인들은 지난달 26일부터 부활절 전날인 31일까지는 ‘고난주간’으로 명하며 기념했다. 고난주간에 오락을 금하고 금식을 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신도들은 언제부터, 왜 계란을 주고 받았을까. 가장 많이 알려진 설은 고대 유럽 십자군 전쟁 당시부터 시작됐다.

당시 남편을 전쟁터에 내 보낸 한 부인이 피난을 가 산골마을에 살게 되었고, 그 마을 주민들의 친절함에 보답하는 의미로 부활절에 음식과 함께 예쁘게 색칠한 달걀을 나눠준 것이 그 시작이라고 알려졌다. 그 부인은 항상 계란에 집안의 가훈인 ‘하나님의 사랑을 믿자’이라는 글을 적어줬다.

그러던 어느해 부활절, 그 부인은 한 소년에게 같은 계란을 건넸고, 그 소년은 길에서 병든 군인을 만나게 된다. 군인은 계란에 적힌 ‘하나님의 사랑을 믿자’라는 글을 보고 너무 놀라 소년에게 어디서 받았는지 물어 부인과 다시 만날수 있게 되었다.

부인은 그 후에도 해마다 부활절이면 자신의 남편을 찾아준 색 달걀을 이웃들에게 나눠주었고 이것이 유래가 되어 오늘날의 부활절 계란으로 이어지고 있다.병아리가 계란 껍질을 깨고 태어나는 것을 부활에 연관시켰다는 설도 있다.

또 다른 설로는 초대교회부터 고난주간과 사순절 기간동안 성도들은 고난을 생각하며 금식하고 먹는 것을 절제했는데 부활절에 계란을 먹어 영양소를 보충하기 위한 것이란 이야기도 전해진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