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 의사 공판 기록물·유묵, 국가문화재 등록 신청

안중근 의사 공판 기록물·유묵, 국가문화재 등록 신청

강경민 기자
입력 2019-12-11 09:25
수정 2019-12-11 09: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판 현장 담은 그림·방청권·유묵 3점 등 총 5점…서울시, 문화재청에 신청

이미지 확대
서울시, 안중근 의사 공판 기록물·유묵, 국가문화재 등록 신청
서울시, 안중근 의사 공판 기록물·유묵, 국가문화재 등록 신청 서울시가 안중근 의사와 관련된 유물 5점을 국가문화재로 지정?등록해줄 것을 문화재청에 신청했다고 11일 밝혔다. 사진은 일본 도요신문사의 고마쓰 모토코 기자가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 사살과 관련한 1910년 공판장을 스케치한 그림 ‘안봉선풍경 부 만주화보(安奉線風景 附 滿洲畵報)’ 중 안중근 의사가 호송 마차를 타고 등장하는 모습과 재판장 광경. 2019.12.11
서울시 제공=연합뉴스
서울시는 안중근 의사와 관련된 유물 5점을 국가문화재로 지정·등록해줄 것을 문화재청에 신청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울시는 1910년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사살 관련 공판 자료 2점을 국가 등록문화재로, 안 의사가 옥중에서 남긴 유묵(遺墨, 생전에 남긴 글씨) 3점을 보물로 각각 등록 신청했다.

공판 자료는 당시 일본 도요신문사(土陽新聞社)의 고마쓰 모토코(小松元吾) 기자가 공판장을 스케치한 그림 ‘안봉선풍경 부 만주화보’(安奉線風景 附 滿洲畵報)와 고마쓰 기자가 받은 공판 방청권이다.

공판 스케치는 1910년 2월 10일 중국 뤼순(旅順) 법원에서 열린 제4회 공판을 안 의사의 등장부터 시간의 흐름대로 4쪽에 걸쳐 담았다. 외신 기자들의 생생한 표정과 실랑이가 일어난 방청석 모습 등도 담겨있어 불공정하게 진행됐던 당시 공판 상황을 엿볼 수 있다.

두 자료는 고마쓰 기자의 후손이 2016년 ‘안중근의사숭모회’에 기증했다.

서울시는 “두 유물은 당시 공판의 정확한 날짜와 재판 참석자, 재판장 분위기 등이 그림과 함께 기록된 현존 유일본이자 근대 동아시아 국제법 사료의 일면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안중근 의사의 유묵 3점은 일본인들의 요청으로 쓰였다는 점에서 역설적 의미가 있다. 재판 과정과 옥중에서 보인 안중근 의사의 언행에 감복한 일본인들이 직접 비단과 종이를 사서 안중근 의사에게 요청한 것이다.

해당 글은 ‘황금백만냥 불여일교자’(黃金百萬兩不如一敎子·황금 백만 량이라도 자식 교육 잘 시키는 것보다 못하다), ‘지사인인 살신성인’(志士仁人殺身成仁·뜻 있는 사람과 어진 사람은 자신을 죽여 인(仁)을 이룬다), ‘세심대’(洗心臺·마음을 씻는 곳)다.

유묵 3점의 좌측 하단에는 안 의사의 약지 일부가 없는 왼손 장인(掌印)이 선명하게 찍혀있다. 안 의사는 1909년 봄 동지들과 구국을 결의하며 약지 일부를 잘랐다.

안중근 의사의 유묵은 현재 50여 점이 전해지고 있으며, 총 26건이 보물로 지정돼 있다.

서울시는 이번에 등록 신청한 유물 5점은 소유자로부터 신청을 받아 시 문화재위원회의 조사 및 심의를 거친 유물들이라고 설명했다. 문화재의 최종 등록 여부는 문화재청이 결정한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서울시·꽃재교회와 함께 마련한 어르신 여름잔치 ‘브라보시니어’ 현장 함께해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구미경 의원(국민의힘, 성동2)은 지난 23일 꽃재교회에서 열린 ‘제8회 브라보시니어’ 지역 어르신 초청 행사에 참석해 삼계탕 배식 봉사를 진행하고 따뜻한 인사말을 전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한 ‘브라보시니어’는 서울시가 주최하고 꽃재교회가 주관한 2025년 서울시 종교계 문화예술 공모사업의 하나로, 총 1800만원의 서울시 예산이 투입된 지역 어르신 초청 행사다. 서울시는 종교시설을 거점으로 어르신들에게 영양 있는 식사와 문화공연을 제공하며 공동체 돌봄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해당 공모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구 의원을 비롯한 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 김성복 꽃재교회 담임목사 겸 감독 등 주요 내빈들이 참석했으며 김 부시장은 인사말에서 “서울시 예산이 지역 어르신들을 위한 따뜻한 손길로 실현되는 현장을 보니 매우 뿌듯하다”라며 “앞으로도 서울시는 어르신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복지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장에서는 뉴왕십리오케스트라의 연주, 꽃재망구합창단의 합창, 구립 꽃초롱어린이집 원아들의 율동 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이어졌으며, 성동구와 중구 어르신 500여명이 참석해 흥겨운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서울시·꽃재교회와 함께 마련한 어르신 여름잔치 ‘브라보시니어’ 현장 함께해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