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장애 사태 조사 결과 발표
“데이터센터 배터리 방화 조치 부족
카카오, 센터 간 서버 이중화 미비”
한 달 내 원인 개선 조치 보고 요구

연합뉴스
지난 15일 오후 화재가 발생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SK 판교 캠퍼스 A동에서 소방관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카카오 데이터 서버가 있는 곳이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런 내용의 카카오 등 장애 사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0월 15일 오후 3시 19분쯤 경기 성남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지하 3층 배터리실에 배터리모니터링시스템(BMS)이 구축돼 있었으나 화재 발생 직전까지 이상 징후는 나타나지 않았다.
화재가 발생한 리튬이온 배터리는 가스 소화가 어려운 특성을 갖고 있었다. 그렇지만 SK C&C는 2016년 설치 이후 특화된 방화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초기 진압이 제약됐다. 서버에 이중화된 형태로 전원을 공급하던 무정전 전원 장치(UPS)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물리적으로 완벽히 분리되지 않아 작동이 중지됐다.
또 배터리 상단에 있던 전력선이 화재로 인해 손상됐고 화재 진압을 위한 살수 시 누전 등 2차 피해 우려로 전체 전력을 차단했다.
카카오는 판교 데이터센터와 다른 센터 간 이중화 조치를 취했으나, 다른 센터의 서버를 동작하기 위한 도구는 판교 데이터센터 내에만 구축해 장애 복구가 늦어졌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플랫폼 등 일부 서비스 구성 요소도 데이터센터 간 이중화돼 있지 않았다.
아울러 카카오톡, 다음 등 카카오 서비스 대부분의 핵심 기능이 판교 데이터센터에 집중돼 있어 사고 시 카카오의 대부분 서비스가 즉각 영향을 받았다.
네이버는 데이터센터 간 이중화 조치를 해 서비스 중단은 피했으나, 데이터센터로 서비스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일부 기능에 오류가 발생했다. 카카오의 주요 서비스가 완벽하게 제공되지는 못했던 시간은 127시간 33분이었던 반면, 네이버의 주요 서비스·기능은 약 20분∼12시간 만에 정상화됐다.
정부는 화재 발생 원인은 이날 발표하지 않았다. 이 장관은 “화재 원인은 소방청과 관계기관이 정밀 조사하고 있고, 결과가 나오는 대로 알려 드리겠다”고 말했다. 또 BMS의 정상 작동 여부에 대해서도 정부는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않았다.
이 장관은 SK C&C와 카카오, 네이버 등 3사에 대해 한 달 내에 주요 사고 원인에 대한 개선 조치와 향후 계획을 수립해 보고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2-12-0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