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33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의 절반 수준까지 줄이겠다고 6일 밝혔다.
시는 이날 발표한 ‘서울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에서 건축물과 교통수단 온실가스 배출 관리, 청정에너지 전환을 통해 이같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달성하겠다고 했다.
앞서 시는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2005년 대비 40% 수준, 2040년까지는 70% 줄이겠다는 계획을 수립해 C40 도시기후리더십그룹(C40)에 제출한 바 있다.
이미지 확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2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녹색건물 콘퍼런스에 참석해 건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 안덕근 장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2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녹색건물 콘퍼런스에 참석해 건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 안덕근 장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연합뉴스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선 ▲건물 탈탄소화 ▲교통 수요관리 및 친환경차 확대 ▲지열 등 청정에너지 전환 등이 추진된다. 건물은 신축건물, 사용 중 건물, 노후건물로 분류하고 각각 제로에너지건물 인증, 건물에너지 등급제, 에너지 효율 개선 방식을 적용할 예정이다. 특히 건물 유형별로 배출량을 관리하는 총량제는 2026년까지 민간건물로 전면 확대된다. 서울시 전체 온실가스 배출의 67%는 건물 온실가스에 해당한다.
교통부문에서는 배달 이륜차, 화물차, 통학버스 27만 9000대가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또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은 내년부터 서울 전역에서 운행이 제한된다. 4등급 차량은 내년엔 녹색교통지역, 2030년엔 서울 전역에 운행이 제한된다.
또 서울시는 건물의 냉난방을 친환경 전력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지열, 수열, 태양광 등 청정,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나선다. 지난해 1GW였던 신재생 에너지의 생산은 2033년 3.3GW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