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696명 대상 관련성 연구…흡연 직접노출 74%·간접 11%
건강보험공단이 담배회사에 진료비 부담 책임을 묻는 ‘담배소송’을 제기한 가운데 폐암 환자 10명 중 8~9명이 직·간접 흡연자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양전자방출단층촬영기(PET-CT)로 촬영한 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흡연과 폐암과의 관련성을 연구했더니 85.2%가 흡연에 노출됐다고 18일 밝혔다.
의학원 핵의학과는 2011년 7월 개원한 이후 올해 2월 말까지 CT로 1만명 이상을 검사했고, 이 가운데 폐암 판정을 받은 696명을 대상으로 담배에 노출된 정도를 조사했다. 518명(74.4%)은 직접 흡연자로, 75명(10.8%)은 가족이나 직장에서 흡연에 오랫동안 노출된 간접 흡연자로 파악됐다. 직·간접 흡연 경험이 전혀 없는 환자는 103명(14.8%)이었다.
양승오 의학원 핵의학과 주임과장은 “장기간의 직·간접 흡연이 폐암의 가장 확실한 원인으로 밝혀졌다”면서 “직접 흡연자의 폐암 진단 당시 평균 나이는 65세, 평균 흡연력은 42.5갑년이었다”고 밝혔다. 갑년이란 1년 동안 하루 한 갑씩 담배를 피웠을 때를 기준으로 하는 담배 소비량 단위다. 하루에 한 갑씩 30년 동안 피웠다면 30갑년, 반 갑씩 30년 동안 태웠다면 15갑년이 된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폐암이 증가 추세다. 미국은 연간 16만명이 폐암으로 사망하고 이 가운데 10~15%가 비흡연자로 파악된다고 의학원은 설명했다. 우리나라에서도 폐암 환자수는 연간 2만명을 훌쩍 넘었고 이 가운데 1만 7000여명이 흡연자라고 중앙암등록본부가 발표한 바 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4-04-1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