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한국 선수단, 18번째로 소치 선수촌 입성

<올림픽> 한국 선수단, 18번째로 소치 선수촌 입성

입력 2014-02-06 00:00
수정 2014-02-06 1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계올림픽에서 3회 연속 종합순위 ‘톱10’ 진입을 노리는 한국 대표팀이 소치 올림픽 선수촌에 공식 입촌했다.
이규혁과 이상화 등 소치 동계올림픽 국가대표 선수들이 5일 오후 러시아 소치 올림픽빌지리 국기광장에서 열린 대표팀 입촌식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규혁과 이상화 등 소치 동계올림픽 국가대표 선수들이 5일 오후 러시아 소치 올림픽빌지리 국기광장에서 열린 대표팀 입촌식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 선수단은 5일 오후(현지시간) 러시아 소치의 해안 클러스터의 올림픽 빌리지 내 광장에서 대회 조직위원회가 개최한 입촌식 행사에 참석했다.

한국은 이번 대회 88개 참가국 가운데 18번째로 선수촌에 공식 입촌했다.

총 120명의 한국 선수단 중 빙상, 컬링 대표 등 65명은 해안 클러스터에서 지내며, 스키와 썰매, 바이애슬론 선수들은 산악 클러스터의 ‘마운틴 빌리지’와 ‘인듀어런스 빌리지’에 나뉘어 올림픽 기간을 보낸다.

이날 입촌식에는 김재열 선수단장 등 본부 임원과 이미 지난 1∼2일 소치에 도착해 훈련 중인 스피드스케이팅 대표팀이 참석했다. 김정행 대한체육회장도 현장을 찾았다.

러시아 전통 복장을 입은 악대가 드럼 연주로 막을 연 데 이어 흥겨운 댄스 음악에 맞춘 공연이 이어져 환영 분위기가 무르익었다.

이어 2002 솔트레이크시티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은메달,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에서 동메달리스트인 이리나 슬루츠카야가 선수촌 부촌장으로 등장했다.

올림픽기가 게양되는 가운데 올림픽 찬가가 광장에 울려 퍼졌고, 슬루츠카야는 “다브로 빠잘로바츠”(환영합니다)를 외치며 한국 선수단을 환영했다.

이어 김재열 단장이 무대에 오르자 애국가가 흐르는 가운데 올림픽기의 옆에 가운데 태극기가 걸렸다.

김재열 단장은 슬루츠카야 부촌장에게 자개 작품을 선물했고, 러시아 전통 인형인 마트료시카를 받았다.

슬루츠카야 부단장은 “한국 팀에 행운이 있기를 기원한다”며 미소 지었다.

한국 선수단 ‘맏형’ 이자 이번 올림픽 개막식의 기수를 맡은 이규혁(36·서울시청)은 “즐거운 분위기 속에서 반겨주셔서 기분이 좋다”면서 “진짜 올림픽 시작을 알리는 행사라 긴장감도 느껴지고 만감이 교차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우리 선수들 모두 이 순간을 위해 4년을 준비했다”면서 “결전의 날만 남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