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일본 오키나와 긴 구장에서 훈련을 하고 있는 최희섭(36·KIA)은 배트를 다시 들고 공을 칠 수 있다는 게 정말 즐거운 듯했다. 짧게 깎은 머리에 얼굴은 까맣게 탔지만 표정은 무척이나 밝았다. 이마에 송골송골 구슬땀이 맺혔지만 입가에는 엷은 미소를 띠고 있었다.
이미지 확대
최희섭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최희섭
메이저리그 무대에 선 한국인 첫 타자 최희섭에게 지난해는 악몽 같은 시간이었다. 수술과 부상 후유증에 슬럼프까지 겹치면서 1군은 물론 2군에서도 뛰지 못했다. 2005년 LA 다저스 유니폼을 입고 3연타석 홈런을 날린 게 엊그제 같은데, 어느덧 서른여섯의 노장이 돼 선수 생활의 황혼기를 맞았다. 지난해 은퇴를 고려했지만 그가 가장 잘하는 일인 야구를 이대로 그만둘 수 없어 다시 글러브를 끼었다.
야구만 잘하면 된다는 생각의 최희섭은 이제 변했다. 그는 “그간 야구만 하느라 다른 걸 보지 못했다. 후배를 잘 돌보고 챙기는 역할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올해는 성적은 물론 야구 외적인 부분에도 많은 노력을 하겠다”며 듬직한 모습을 보였다. 이어 “(광주일고 선배인) 김기태 감독으로부터 내가 야구를 왜 하는지에 대해 많은 조언을 들었다. 내 야구 인생은 성공의 순간도 있었지만 실패의 경우도 많았다. 큰 실패를 경험하고 이 자리까지 온 만큼 팀에 도움이 되는 선수가 돼 야구 인생을 잘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몇 년간 부진한 탓에 최희섭의 부활을 반신반의하는 팬이 많다. 그러나 KIA 관계자는 “최희섭이 프리배팅 때 펜스 상단에 공을 꽂아 넣고 있다”며 “컨디션이 너무 좋아 코칭스태프가 페이스를 조절할 정도”라고 전했다.
오키나와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5-02-2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