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게임 D-2> ‘손연재 경쟁자’ 나자렌코바 출전 불발

<아시안게임 D-2> ‘손연재 경쟁자’ 나자렌코바 출전 불발

입력 2014-09-17 00:00
수정 2014-09-17 13: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4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리듬체조 요정’ 손연재(20·연세대)의 강력한 경쟁자로 꼽혀온 엘리타베타 나자렌코바(19·우즈베키스탄)의 출전이 불발됐다.

17일 대회 조직위원회가 공개한 우즈베키스탄의 아시안게임 리듬체조 대표팀 명단에서 나자렌코바의 이름은 빠져 있었다.

러시아에서 귀화한 나자렌코바가 ‘귀화 선수는 해당 국가에 3년 이상 거주해야 한다’는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규정을 충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러시아 무르만스크에서 수영 선수 출신 아버지와 리듬체조 선수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나자렌코바는 아시안게임을 겨냥해 지난 5월 우즈베키스탄 국적을 취득했다.

나자렌코바는 중국의 덩썬웨와 더불어 손연재를 위협할 경쟁자 중 한 명으로 꼽혀왔다. 나자렌코바의 낙마는 한국 리듬체조 사상 첫 금메달을 노리는 손연재에게 호재다.

나자렌코바는 우즈베키스탄으로 귀화한 이후 첫 대회인 국제체조연맹(FIG) 타슈켄트 월드컵에서 개인종합 8위에 곤봉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불가리아 소피아와 러시아 카잔에서 열린 최근 두 차례의 FIG 월드컵에서는 모두 개인종합 8위를 기록했다. 손연재는 두 대회에서 각각 개인종합 3위, 5위를 마크했다.

나자렌코바의 세계 랭킹은 11위로 아시아권에서는 손연재(공동 5위)에 가장 근접한 선수다. 그래서 손연재의 경쟁자를 거론할 때 덩썬웨(공동 22위)와 함께 첫 손으로 꼽혀왔다.

손연재의 또 다른 아시안게임 경쟁자인 우즈베키스탄의 자밀라 라크마토바(16위), 일본의 미나가와 가호(18위), 사쿠라 하야카와(공동 22위)는 예상대로 아시안게임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다.

올 시즌 발목 부상으로 많은 대회에 불참해 랭킹 포인트를 쌓지 못한 덩썬웨 역시 중국의 아시안게임 리듬체조 대표팀 4명에 포함됐다.

김춘곤 서울시의원, 양천초 학부모 간담회서 학교 현안 청취 및 교육환경 개선 논의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위원으로 활동 중인 김춘곤 의원(국민의힘, 강서4)은 지난 9일 서울양천초등학교에서 학교 현안 해결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학부모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는 학교 현장의 어려움을 직접 청취하고, 학생들의 안전과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배현정 교장, 우찬순 교감, 강진희 학교운영위원장, 정미희 학부모회장, 윤동길 총동창회 회장, 이의석 총동창회 고문 등이 참석해 학교 현안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나눴다. 간담회에서 학부모 및 학교 관계자들은 ▲학생 안전 확보를 위한 엘리베이터 설치 ▲텃밭 가는 길 경사 완화 및 계단 단차 보수 ▲전자칠판 설치와 방송 기자재 교체 ▲학생 신발주머니 걸이(쇠 갈고리)의 위험성 개선 ▲화장실 배수 문제 해결 ▲교실 내부 도색 등 학교 교육환경과 안전 관련 다양한 현장 의견을 전달했다. 간담회 후 김춘곤 의원은 교장·교감 및 학교 관계자들과 함께 교실, 복도, 화장실, 운동장, 텃밭 이동 경사로 등 학교 주요 시설을 직접 둘러보며 현장 상황을 꼼꼼히 확인하고, 개선이 시급한 부분과 단계별 추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 의원은 “교육의
thumbnail - 김춘곤 서울시의원, 양천초 학부모 간담회서 학교 현안 청취 및 교육환경 개선 논의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