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꽃 꺾어 줄까?” “음, 그럼 징역은 누가 사남유?”
이달 초 ‘부여 서동 연꽃축제’에 갔다가 80대 노부부의 구수한 대화를 듣고 소리 내 크게 웃었다. 형형색색의 연꽃을 둘러보던 남편이 부인에게 애정표현을 했는데 부인의 대답이 아주 걸작이었다. 그 짧은 순간에 “좋다”, “싫다” 단답식으로 답하기보다는 2중, 3중의 은유를 넣어 되받아친 것이다. 꽃을 싫어하지는 않지만 공중도덕을 어겨 남의 눈총을 받기는 주저한다는 의도를 답변에 내포했다.
사투리는 한때 비속어 수준의 푸대접을 받았다. 서울에 유학 온 학생들은 동료들의 놀림을 당하기도 했다. 일부는 입학이나 면접을 앞두고 사투리 교정을 받기도 했다.
사람이 그 지역 말을 쓸 때 표준어로는 표현할 수 없는 감성과 정서가 되살아난다. 교육과 매스컴의 발달로 사투리를 쓴다고 해도 모든 국민이 서울말을 알아들으니 의사소통에 큰 장애가 없지 않은가. 다정다감한 사투리의 소멸이 곧 문화적 다양성의 상실이라는 사실에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2025-07-29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