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제주도 해녀 모티브로 한 중편 ‘폭풍우’ 발표… 독학으로 한글 공부

작년 제주도 해녀 모티브로 한 중편 ‘폭풍우’ 발표… 독학으로 한글 공부

입력 2015-11-25 23:16
수정 2015-11-26 04: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르 클레지오 남다른 한국 사랑

장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는 ‘한국을 가장 잘 아는 지성’으로 꼽힌다. 2001년 대산문화재단과 주한 프랑스대사관이 주최한 한불 작가 교류 행사로 처음 인연을 맺은 이후 기회 있을 때마다 한국을 찾았다. 2007~2008년에는 이화여대에서 1년간 강의를 맡기도 했다.

한국 문학에 대한 조예도 상당히 깊다. 김소월, 노천명, 윤동주의 시는 물론 이청준, 황석영, 이승우의 소설을 두루 섭렵했고 한강, 김애란 같은 젊은 작가들과도 활발히 교류하고 있다. 첫 방문 때 전남 화순의 운주사를 둘러본 후 ‘운주사, 가을비’라는 시를 썼고, 두 번째 방한한 2005년에는 한국행 비행기 안에서 느낀 소감을 담은 시 ‘동양, 서양(역사-몽환 시)’을 완성해 서울국제문학포럼 행사에서 발표했을 정도로 한국에 깊은 애착을 갖고 있다. 지난해에는 제주도 해녀를 모티브로 한 중편소설 ‘폭풍우’를 발표했다.

한글 사랑도 남다르다. 처음 한국에 올 때 혼자 한글을 공부했다는 그는 “의미는 몰라도 길거리 간판의 글자들을 모두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배우기 쉬웠고, 이후 의미를 알게 되면서 매우 논리적인 언어라는 걸 느꼈다”며 “영어, 라틴어 알파벳 대신 한글로 대체하라고 제안하고 싶을 정도”라고 농담했다.

지난 9월 세계한글작가대회 참석차 경주를 방문했을 때 그는 경북도가 제안한 삼국유사 목각판 제작 홍보대사를 흔쾌히 수락했다. 오래전 영어로 삼국유사를 접한 뒤 출판사를 하는 친구에게 프랑스어로 번역하라고 요청할 정도로 매료됐었다는 그는 “목각판 제작은 장인들의 옛날 전통 방식을 되살리는 것이어서 삼국유사가 새로운 예술작품으로 태어날 수 있다”면서 “돌덩이는 풍화되고 깨지지만 문학은 영원히 남는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지난 9월부터 중국 난징대에서 초빙교수로 머물고 있는 르 클레지오는 12월에 강의가 끝나면 프랑스 파리로 돌아가 최근 집필 중인 작품에 몰두할 예정이다. 소설 제목은 ‘알마’. 영혼, 기(氣)를 다룬 내용이라고 살짝 귀띔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11-2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